르상티망
고급 프렌치 레스토랑 갈 필요 없어
파스타 체인점이면 충분해
다들 명품을 왜 그렇게 좋아할까?
퀄리티는 거기서 거긴데, 난 보세가 좋아
저 사업가가 뭐가 대단해?
우리처럼 편법 안 쓰고 착실히 일하는 사람들이 잘 돼야 하는데
언뜻 허세 없는 겸손한 발언처럼 들리지만
'르상티망'에 사로잡혀 있을지도 모른다
르상티망은 철학에서 약한 입장에 있는 사람이
강자에게 품는 시기심을 말한다
철학자 니체가 제시한 르상티망은 조금 더 폭넓은 개념이다
이솝우화의 '여우와 신 포도'이야기는 니체의 르상티망을 아주 쉽게 설명한다
어느 날, 여우가 먹음직스러운 포도를 발견한다
하지만 포도를 따려고 애써도 손에 닿지 않았다
결국 여우는 "이 포도는 엄청 신 게 분명해 이걸 누가 먹겠어"라고 화를 내며 가 버린다
여우는 손이 닿지 않는 포도에 대한 분한 마음을 '저 포도는 엄청 시다'라고 생각을 바꿈으로써 푼다
니체는 바로 이 점을 문제로 삼았다
르상티망을 갖고 있는 사람은 열등감을 노력이나 도전으로 해소하려 하지 않는다
대신 열등감의 원천인 '강한 타자'를 부정하며 자신을 긍정하려 한다
고급 프렌치 레스토랑 갈 필요 없어 파스타 체인점이면 충분해
이 발언에는 '고급 프렌치 레스토랑은 격식 높은 음식점이며 그곳에서 식사하는 사람은 성공한 사람이다'라는 가치관을 뒤엎고 싶은 르상티망이 숨어있다
"고급 프렌치 레스토랑을 자주 가보지는 않았지만 파스타 체인점도 맛있어"라고 말하거나
"나는 파스타 체인점을 좋아해"라고만 하면 된다
그렇게 말하지 않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렇게 말해서는 자신의 르상티망이 해소되지 않기 때문이다
'고급 프렌치 레스토랑'과 '파스타 체인점'을 비교하고 자신은 파스타 체인점을 좋아한다고 말함으로써
고급 프렌치 레스토랑을 좋아하는 사람보다 자신이 우위에 있다는 것을 내세우기 위한 의도이다
하지만 이러한 가치판단의 역전이 단순히 르상티망에 기인한 것인지
분명한 문제의식에 뿌리를 둔 것인지 우리는 잘 판별해야 할 것이다
출처 : 책식주의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쿨한 척하면서 질투 많은 사람들이 자주 쓰는 말투
[BY 책식주의] “철학은 반드시 답을 찾는다!”
m.post.naver.com
위 출처의 베스트 댓글 :
니체가 가장 하고 싶었던 말은 남과 비교하지 않는 자기 긍정을 하는 사람
자신감 있는 사람
창조하는 사람
고통이든 즐거움이든 모두 받아들일 줄 아는 사람
인생을 다시 살아도 또 이렇게 살고 싶을 만큼 자신을 긍정하고 내부의 힘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랍니다.
위의 내용을 통해 니체 정신을 오해하시지 말 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