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분류 전체보기

(24)
관계를 맺기 전 생각해봐야 할 것 어제 포스팅한 '결혼이라는 것, 가정을 만든다는 것'을 다시 읽어보니 결혼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 관계에서 해당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혼 하기 전, "이사람이 나의 마지막 가족이 되기에 적합한 사람인가? 내가 나이들고 가장 나약할 때 옆에 있었으면 하는 사람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듯이 모든 인간관계에서 이러한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이 친구는 내가 나이들고 빛바래고 늙고 추해져서 세상에 필요없는 존재처럼 느껴질 때에 나의 존재를 소중하게 여기고 나의 내면과 심리에 관심을 가지고 내 옆을 지켜줄 수 있는 친구인가?" "이 회사 동료는 우리의 팀이 위기에 쳐했을 때 팀을 위해 동료를 위해 같이 힘을 합칠만한 동료인가? 쉽게 포기하고 도망가버릴 동료인가?" 이런식의 질문을 모든 관계에 적용해 볼 ..
결혼이라는 것, 가정을 만든 다는 것 오랜만에 친구에게서 전화가 왔다.. 갑작스러운 소식이었다. 장례식장 안내를 받았고...여러친구들에게 전화를 돌렸다. 하루 종일 친구 생각이 났다. "나는 엄마 없이 살 수 있을까?" "나는 엄마 없는 세상에서 못 살 거 같다"라는 생각이 제일 많이 들었다. 그런 생각을 하니 정말 슬프고...슬펐다 슬퍼서 못살 것 같았다 그렇게 슬플때는 어떻게 살아야 하지?라는 생각이 들고 보니 예전에도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는 사실이 기억났다. 그때 나는 "남은 가족들끼리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겠구나"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리고 그 때 신랑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중에 우리 양가 부모님이 돌아가시면..우리는 서로에게 가장 가까운 가족이 되고 의지하며 살아가는 사이가 될거야. 형제와 슬픔을 공유하고 공감하겠지만 남은 생..
쿨한척하며 막말하는 사람 대처법 "발표하나 제대로 못하면서 회사는 어떻게 들어왔어? "그옷이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지?"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은 '직설적으로 말하는 것'을 '꾸밈없고 솔직하다'라는 말과 같은 의미로 쓰기 시작했다 '말을 솔직히 하는 것'과 '말에 가시가 있는 것'은 다른 것이다 이들의 말을 살펴보면 비판과 편견이 뒤섞여 있으며 자신의 말이 듣는 사람에게 얼마나 상처가 될지 생각하지 않는다 듣는 사람들이 이를 '직접적'이라는 말로 포장하는 건 이런 말들로 느끼는 정신적 충격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반박하면 속이 좁아 보일까 봐 마음속으로는 피를 흘리면서도 별일 아니라는 듯 웃으며 받아들이는 사람도 있고 마음은 상처를 받았는데 상대의 행동이 '직접적'이라고 합리화하는 사람도 있다 그래야 자기 마음이 편하기 때문이다 '말은..
르상티망 고급 프렌치 레스토랑 갈 필요 없어 파스타 체인점이면 충분해 다들 명품을 왜 그렇게 좋아할까? 퀄리티는 거기서 거긴데, 난 보세가 좋아 저 사업가가 뭐가 대단해? 우리처럼 편법 안 쓰고 착실히 일하는 사람들이 잘 돼야 하는데 언뜻 허세 없는 겸손한 발언처럼 들리지만 '르상티망'에 사로잡혀 있을지도 모른다 르상티망은 철학에서 약한 입장에 있는 사람이 강자에게 품는 시기심을 말한다 철학자 니체가 제시한 르상티망은 조금 더 폭넓은 개념이다 이솝우화의 '여우와 신 포도'이야기는 니체의 르상티망을 아주 쉽게 설명한다 어느 날, 여우가 먹음직스러운 포도를 발견한다 하지만 포도를 따려고 애써도 손에 닿지 않았다 결국 여우는 "이 포도는 엄청 신 게 분명해 이걸 누가 먹겠어"라고 화를 내며 가 버린다 여우는 손이 닿지..
양심과 배려 요즘 머릿속에 늘 떠오르는 문장 하나가 있다. "부끄러울 줄 모르는 것이 가장 큰 무지이다" 이 문장을 잘 해설해주는 [홍익학당 유투브] 양심은 지능입니다. 제가 예전 어떤 강의에서 인의예지 얘기하면서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다 있잖아요? 라고 하는데, 어떤 분이 "없는데요"라고 당당하게 말씀하시기에 제가 "영성은 지능입니다. 영성지능이 떨어지면 이런 거 잘 모를 수도 있습니다"라고 하니까 바로 조용해져요 양심 없는 거는 안 부끄러워하세요 "양심 없으시죠?"라고 여줘보면 "없는데요 양심" 이렇게 대답하시면서도 안 부끄러워하시는데 "(양심을 아는 것)그거 지능인데요"그러면 조용합니다. 자기 머리 안좋다는 걸 보여주고 싶어하지는 않거든요 (심지어는)내가 뭔가 남보다 우월하니까 양심 어기지 이런 사람..
3층 연금 및 노후 준비 1층 국민연금 2층 퇴직연금 : DB형 퇴직시점의 급여를 최대치로 올린다 DC형 내 스스로 퇴직금을 키워야 한다 3층 개인연금 : 연말정산 세액 공제 혜택 (연금저축상품(펀드/ETF)로 투자 가능) 내 연금 수령액 통합 확인 https://blog.naver.com/dschoi4080/222168051062 내 연금 알아보기 https://www.nps.or.kr/jsppage/csa/csa.jsp 3층 연금 준비가 안된 경우에는 주택연금,농지연금이라도 준비하기 1인 기업이나 자영업자도 세제혜택 받으면서 퇴직연금 가입 가능 연금사관학교 https://youtu.be/g763QAbltF0 노후대비 333전략(3층연금) https://youtu.be/ysEHDhLwCec 연금저축펀드의 모든것 https://..
실패하는 사람의 31가지 습관 실패하는 사람들의 습관이 뭔지 알아보고 그들을 반면 교사 삼아 내가 뭘 고쳐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98프로의 사람들이 실패한다고 하는데 그 사람들의 행동을 반대로만 하면 성공에 가까워 질 수 있습니다. 1. 삶의 목표 부재 2. 교육의 부족 3. 좋지 않은 건강 상태 4. 꾸물거리는 성향 5. 끈기가 부족한 것 6. 부정적인 성향 7. 거져먹으려는 열망 8. 결단력이 부족한 것 9. 두려움 10. 지나친 조심성 11. 잘못된 직업 선택 12. 집중적 노력 부족 13. 무분별한 소비 14. 편견과 고정관념 15. 절제하지 못하는 습관 16. 협력적인 자질 부족 17. 부정직 18. 자기 중심적 태도와 허영심 19. 생각없이 추측하는 태도 20. 불행한 유전적 결함 21. 부족한 향상심 22. 자기 훈..
공부 관련 좋은 글 뇌는 긍정적인 감정 상태에서 배운 것을 오랫동안 기억한다. 뇌에서 기억을 관장하는 핵심 부위는 해마다 공부한 내용을 몇 년 동안 기억하려면 해마가 그것을 중요한 정보라고 판단해야 하는데, 정서 기억을 담당하는 편도체를 자극하면 그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과학 교사가 좋아하는 영화배우를 닮았다는 이유로 과학을 좋아하게 되고 시험 때가 되면 과학 공부를 제일 열심히 하는 아이의 경우처럼 말이다. 반대로 아이가 공부로 압박을 받는 다면 뇌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이 많이 분비될 것이고 스트레스 호르몬에 취약한 해마는 학습기억을 잘 처리하지 못해 학습 능률이 떨어질 것이다. 부모는 아이가 언제 얼마만큼의 스트레스를 받는지 알아야 하고 이를 적절하게 풀 수 있게끔 도와줘야 한다. 주말에는 가족이 함께 가벼운 등산을 ..

SMALL